최근 5년간 국립공원 산행 중 사망자 50%가 심장마비

충분한 준비운동과 기온하강에 대비한 보온장비 착용 등

[ 기사위치 뉴스 ]
글자크기 +
글자크기 -

최근 5년간 국립공원 산행 중 사망자 50%가 심장마비

오브라이프코리아 | 편집부

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


충분한 준비운동과 기온하강에 대비한 보온장비 착용 등

민안전처(장관 박인용)와 국립공원관리공단(이사장 박보환)은 봄철 날씨가 포근해지면서 등산객 증가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를 당부했다.

* 과거 5년(2011~2015) 평균 4,115만 명이 국립공원을 방문하였으며, 3월에는 2월에 비해 31.3%가 증가한 243만 명이 방문

* 과거 5년(2011~2015) 총 43,373명이 산악사고로 119구조대에 구조되었으며, 3월부터 구조건수가 증가하기 시작(누계: 2월 2,392명 → 3월 2,517명 → 4월 2,796명)

봄철에는 산행 중에 아직 낮은 기온으로 인해 혈관이 수축되고, 수축된 혈관에 압력이 높아져 심장마비 발생 위험이 어느 때보다 높다. 

과거 5년간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사망자 115명 중 50%(58명)가 심장마비로 사망하였으며, 31%(36명)는 추락으로 사망했다.

올해에도 벌써 여러 건의 심장마비 사고가 발생했다. 

지난 3월에는 김모씨(44)가 가평의 유명산을 오르던 중 갑자기 쓰러져 심폐소생술을 받으며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심장마비로 사망하였고, 포천의 국사봉에서 이모씨(71)가 산을 내려오던 중 심장마비로 숨진 사례가 있다.

봄철 등산 중에 심장마비를 예방하고 골절 등 부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산에 올라가기 전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. 

봄철은 기상변화가 가장 심한 계절로 산은 봄과 겨울 날씨가 공존하여 갑작스런 기온하강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겨울에 준하여 등산복 등 보온장비를 준비해야 하고, 겨울내 웅크렸던 몸으로 갑자기 등반하는 것은 근육과 관절에 무리를 주고 심각한 경우 심장마비로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출발하기 전에 충분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으로 체온을 올려야 한다. 

등산은 생각보다 강도 높은 운동으로 자신의 체력을 과신하지 말고 봄철에는 오후 4시 전에는 하산 할 수 있는 가벼운 코스를 선정해야 한다.

국민안전처 최복수 안전총괄기획관은 “봄철에는 몸이 적응하도록 충분한 준비와 함께 자신의 체력보다 가벼운 등산코스를 선택하고, 특히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음주행위는 삼가해 줄 것”을 당부했다.



편집부  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@fmebs.com

<저작권자 © 오브라이프코리아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